Substance 3D

Substance 3D Designer 기초

SUGI_ 2024. 4. 19. 12:49

절차적 노드 방식을 통해 3D Material이나 Pattern, Image Filter나 3D 모델을 제작하여 무한으로 베리에이션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영문판 다운 확인

 

인터페이스 설명

1. 메인툴바 : 파일 불러오기 , 환경설정

2. 탐색기 (EXPLORER) : 패키지를 만들어서 작업. 리소스나 패키지 관리

3. 라이브러리 : 노드를 검색하여 작업 가능 (잘 쓰진 않음)

4. 그래프뷰 : 스페이스바를 통해 노드를 꺼내 사용할 수 있음 (실질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는, 프리미어로 따지면 타임라인과 같음)

5. 3D뷰

6. 2D뷰

7. 속성 (PROPERTIES) 탭 : 실질적으로 노드들의 효과들을 컨트롤 할 수 있음.

 

기능 소개

패키지를 만들어 작업을 시작

 

그래프 새로 만들기

 

다양한 템플릿들이 있음.

보통 많이 사용하는 템플릿 : Metallic Roughness /  Adobe Standard Material도 지원

많이 쓰는 출력 포맷 : Relative to parent (상위가 상대적임) →  작업 목적에 맞게 활용

 

노드들 어떻게 꺼내 작업하는지 확인

노드 추가 그래프뷰에서 스페이스바를 눌러 노드 추가하기

 

 

PBR(물리 기반 렌더링)이란? - Adobe Substance 3D

물리 기반 렌더링(PBR)이 3D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과 3D 디자인에서 확산, 반투명도, 투명도를 만드는 역할에 대해 알아보세요.

www.adobe.com

 

물리 기반 텍스처와 머티리얼 원리 이해 하기 (Feat. PBR 텍스처)

[머티리얼의 속성] 머티리얼은 Base Color, Metalic, Roughness, Normal, Height 등의 속성을 구성됨. 해당 속성을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 이 속성들은 '물리적으로 정확한 계산' 을 바탕으로 만들어짐. so

hello-5200.tistory.com

[Material 의 속성]
Base Color, Normal, Roughness, Metallic, Height 등의 속성을 구성.
해당 속성들은 '물리적으로 정확한 계산'을 바탕으로 만들어짐 특정 오브젝트가 가상공간에서 현실감있게 표현되기 위한 요소 (현실감있는 오브젝트가 되는데 최소 필요한 요건은 충족)

[PBR 텍스처 (Physically Based Rendering)]
해당 속성을 보여줄 수 있게 렌더링 하는 방식
즉,
1. Base Color, Normal, Roughness, Metalic, Height 값 입력
2. 컴퓨터가 해당 속성을 바탕으로 빛 정보 등을 계산
3. 그 결과, 물리적으로 정확한 재질이 계산되어 현실감있는 오브젝트 제작

[Base Color]
외형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
기본이 되는 색 자체
들어갈 수 있는 것 : 단색 / 무늬, 로고 등

[Roughness]
수치 올리면 거칠어짐, 빛 반사가 적어짐
수치 낮추면 빛을 반사 시킴
Roughness 설정 0~1 사이로 포인트 위치 (전체적인 거칠기만 제어 가능)
검은색부분 0 (거칠기 낮음) ↔ 흰색부분 1 (거칠기 높음)

[Metallic]
수치 올리면 금속성 느낌
수치 낮추면   비금속 느낌

[Normal]
재질의 굴곡과 디테일을 표현  → 모델링이 변형된 것은 아님 (실제로 올라와 있지는 않음)
Normal의 원리 → 주변 광원(빛) 정보를 변형 / 폴리곤을 사용해서 디테일을 잡는 것은 아님

[Height]

실제 사물을 변형 
Normal과의 공통점 → 사물의 굴곡을 변형 
Normal과의 차이점 → 실제 모델링을 변형 / 폴리곤 변화 / 최적화에 악영향

 

[타일 제작]

Tile Generator / Tile Sampler or shape라고 해서 특정 모양있는 노드를 변경하여 더하고 빼고 해서 제작 가능

 

마우스 휠을 이용하여 줌 아웃 / 이동 가능

단축키 F를 눌러 확대 가능

Alt + 우측 마우스 줌 아웃 가능 

 

Tile Generator  

INSTANCE PARAMETERS (인스턴스 매개 변수)

가로 세로 타일을 지정할 수 있는 옵션

5 / 5 로 지정

원하는 모형으로 패턴 변경이 가능

직접 만든 패턴으로 넣어 변경도 가능 

 

Normal 연결

Intensity 강도 조절 → 높을 수록 더 또렷하게 보이게

 

+ Bevle 효과 (경사)

더 빨리 효과를 적용하고 싶으면 라인을 누르고 스페이스바 눌러 적용

Distance 거리 조절 

Smoothing 조절 → 경계 부드럽게

 

+  Levels 레벨 효과 (간격)

 

노드 추가 한글 작성 안됨

 

※ Tip  

- 노드 정렬하고 싶을 때 

단축키 수평 H / 수직 V

- Ctrl + Shift 누르고 마우스 우측버튼 누르고 회전 하면 빛의 회전 확인 가능

 

Height 연결

더 튀어나오게 하기 위해 옵션 추가

 

 

[배경은 매트 파일은 반짝이게 효과 적용]

반대로 적용하고 싶으면 Invert Grayscale 노드 추가

 

[3D뷰에서 뒤에 배경이 보고 싶을 때]

환경 편집 True로 변경

다른 배경으로 변경

 

※ Tip ※ 

노드 그룹핑 

노드들이 많아지면 추후 수정할 때 헷갈릴 수 있으니 그룹화 시켜주자

그룹지어줄 노드들을 선택 후 노드 추가 Frame 프레임

→  이름이나 색 변경 가능

 

[컬러 넣기]

Uniform Color (균일 색상) 노드 추가 

복사 Ctrl + C / V , Ctrl + D

 

Blend (혼합) 노드를 통해 컬러를 합쳐줄 것임

하지만 티가 많이 안나서 Mask 효과를 줄 것임

 

Cloud 노드 추가 Opacity 연결

Cloud의 패턴을 변경하면서 확인 가능 (Blend를 선택하고 있어야 함)

 

줄공시공

기능을 섞을 때는 Blend 노드!

노드 연결 선을 변경하고 싶을 때 단축키 X

 

 

[완성이 된 후 저장을 하거나 내보내기]

 

 

Photoshop용 Substance 3D 재질

Photoshop용 Substance 3D 재질

helpx.adobe.com

 

 

Substance Share 다운받은 마테리얼 적용하기

서브스탄스 페인터를 사용할때 제일 중요한 마테리얼! 손으로 텍스쳐링을 하는 것도 좋지만 마테리얼을 사용해서 좀 더 실사적인 텍스쳐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소프트웨어일 것이다. 서브스텐

toramee2vr.tistory.com

sbsar
Substance 3D Designer, Sampler, Painter로 3D 콘텐츠의 재질 제작과 쉐이딩 정의를 위해 생성되는 가장 일반적인 파일
 

Import and export formats | General knowledge

General Knowledge > Ecosystem > Import and export formats

helpx.adobe.com

 

[직접 패턴 제작]

waveform 노드 추가 or Shape 노드 추가

 

연결된 노드들을 한번에 움직이는 법 Shift 누르고 이동

밑에 옵션들을 건드려 확인

 

끊어지는 부분이 생길 시

Image Input Filtering 옵션 변경 → Nearest 최근접 으로 변경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