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ly Based Render 물리 기반 렌더링
렌더를 기준으로 할 때는 PBR, 쉐이더를 표현할 때는 Physically Based Shader, PBS 라고 부른다.
Physically Based라는 의미대로 물리 현상 기반에서 따온 법칙을 이용한 방법
https://www.adobe.com/kr/products/substance3d/discover/pbr.html
PBR(물리 기반 렌더링)이란? - Adobe Substance 3D
물리 기반 렌더링(PBR)이 3D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과 3D 디자인에서 확산, 반투명도, 투명도를 만드는 역할에 대해 알아보세요.
www.adobe.com
표면의 텍스처를 실감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빛의 표면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이해해야 한다.
가상 환경에서 텍스처와 재질은 조명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조명의 원리를 잘 이해할수록 텍스처를 더욱 실감나게 표현 할 수 있음.
https://www.adobe.com/kr/products/substance3d/discover/3d-lighting.html
3D 조명 - Adobe Substance 3D
3D 디자인 프로젝트에 3D 조명 기법을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보세요. 다양한 3D 조명 모델을 통해 사실적인 3D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www.adobe.com
3D 광원의 5가지 유형
기본적인 조명 기법을 사용하거나 조명을 정교하게 조정하여 원하는 느낌을 연출하려면 먼저 빛을 내는 물체 즉, 광원을 이해해야 한다.
다양한 조명 유형 외에도, 광원 수에 따라 3D 장면의 분위기가 달라진다.
광원의 방향과 특성도 중요하지만, 빛의 색상도 고려해야 한다. 빛의 색상과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PBS를 이미지로 Metallic(금속성)과 Roughness(거칠기)의 관계 알아보기
Matallic 값을 설정할 때 금속은 1로, 비금속은 0으로 설정
Roughness 값은 표면이 거칠거나 윤기의 유무에 따라서 값을 설정 또한, 거칠기를 떠나서 이물질이 있느냐 없느냐도 표현하기 좋음.
'3D 기초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얼타임 렌더링의 이해와 3D 모델링 프로세스 (0) | 2024.05.06 |
---|---|
3D 모델링의 폴리곤이란? (0) | 2024.04.22 |